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서산 앞바다, 조개잡이 기억

 


 서산 앞바다, 조개를 품은 모래밭의 기억

어느 여름날, 나는 서산 해안가 옆에 차를 조심스럽게 세웠다.
햇살은 따가웠지만, 바닷바람은 생각보다 시원했고,
갓 빠진 바닷물 너머로 드러난 모래밭이 나를 유혹하듯 펼쳐져 있었다.

조개잡이 도구라고 해봤자, 작은 호미 하나와 플라스틱 바구니뿐.
그것만 들고 맨발로 사각사각 모래를 밟으며 바다 쪽으로 걸어갔다.
갯벌이 아닌, 단단하면서도 촉촉한 모래 속으로
호미를 조심스럽게 집어넣어 몇 번 긁자—
순식간에 백합 조개들이 와르르 쏟아져 나왔다.

그때 나는 정말 놀랐다.
이렇게 많은 조개가, 이렇게 쉽게 잡히다니.
마치 모래 속에 숨겨진 보물 상자를 연 느낌이었다.

나는 조용히 혼자 집중하며, 하나둘 조개를 바구니에 담았다.
해가 조금씩 기울 무렵, 한 다라 가득 조개를 채웠다.
그 조개를 조심스레 차에 싣고, 시골 집으로 향했다.

도착하자마자, 큰 바가지에 물을 받아 조개를 해감했다.
조개들이 입을 벌렸다 다물기를 반복하며,
모래를 뱉는 모습을 보니 생명이 느껴졌다.
하룻밤을 그렇게 두고, 다음 날 아침
깨끗하게 씻은 조개를 냄비에 넣고 삶았다.

소금 약간, 마늘 조금.
별다른 양념은 필요 없었다.
그저 조개 본연의 바다 향과 담백한 맛이
입 안 가득 퍼졌다.

하나씩 꺼내 먹으며, 그 순간을 천천히 음미했다.
혼자였지만 외롭지 않았고, 조용했지만 마음은 따뜻했다.

그날의 조개는, 단지 해산물이 아니었다.
자연이 준 선물, 그리고 기억이 되었다.


A Memory of Seosan's Sandy Shore, Buried in Clams

One summer day, I gently pulled over near the Seosan coastline.
The sun was strong, yet the ocean breeze brought a cool relief.
Before me stretched a sandy shore, freshly revealed as the tide receded—
a quiet invitation from the sea.

My tools were simple: a small rake and a plastic basket.
With bare feet sinking lightly into the sand,
I made my way toward the waterline.
It wasn’t thick mud, but firm, moist sand that welcomed each step.

I gently dug the rake into the ground, curious.
And to my amazement,
dozens of white, plump clams suddenly spilled out like hidden treasure.
It was as if I had opened a secret chest beneath the earth.

I quietly kept digging,
gathering the clams one by one with careful hands.
As the sun began to lean westward,
my basket—no, an entire tub—was filled with nature’s bounty.

I loaded it into the car and drove to my countryside home.
There, I filled a big bowl with water and let the clams purge their sand.
Watching them open and close slowly,
I could feel the quiet rhythm of life.

The next morning, I rinsed them clean,
boiled them with a pinch of salt and a touch of garlic.
No need for elaborate spices.
The natural taste of the sea was more than enough.

One by one, I enjoyed each clam,
letting their warmth and flavor linger in my mouth.
Though I was alone, it didn’t feel lonely.
Though it was silent, my heart was full.

Those clams weren’t just food—
they were a gift from nature,
and a memory I’ll keep, like seashells in my mind.


이 여름, 서산으로 조개잡이를 나서 보자!!

뜨거운 햇살이 반짝이는 여름,
도시의 답답한 공기에서 벗어나
자연의 품으로 떠나고 싶어질 때가 있다.

그럴 땐 망설이지 말고,
서산 앞바다로 조개잡이 여행을 떠나보자!

바닷물이 빠진 갯벌과 촉촉한 모래밭은
생명의 보물창고처럼 조용히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작은 호미 하나 들고 바다 쪽으로 발걸음을 옮기면,
그곳엔 우리가 상상한 것보다 더 많은 조개들이 숨어 있다.

하얗고 통통한 백합 조개,
조심스레 긁어내면 와르르 쏟아지는 그 기분!
아이도 어른도 모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빠져든다.

잡은 조개는 집으로 가져와
하룻밤 해감시키고 소금 약간 넣어 푹 삶아 먹으면,
그 바다의 맛이 입 안 가득 퍼진다.

가족과 함께, 친구와 함께,
혹은 나 홀로 고요하게—
이 여름, 특별한 추억을 만들고 싶다면
서산으로 조개잡이 떠나보는 건 어떨까?

자연이 주는 선물,
그 속에 담긴 웃음과 평온함이
당신의 여름을 특별하게 만들어줄 것이다.


🇺🇸 This Summer, Let’s Go Clam Digging in Seosan!!

When the summer sun glistens above
and the city air feels too heavy to breathe,
there’s no better time to escape into nature’s embrace.

And what better place than the peaceful shores of Seosan?

As the tide pulls away, it reveals sandy flats
that quietly wait like a hidden treasure chest.
With just a small rake in hand,
take a few barefoot steps toward the sea—
and you’ll find more clams than you ever imagined.

White and plump, the clams spill out with every gentle dig.
It’s a thrill for both kids and adults,
a simple joy that makes you forget time.

Bring your catch home,
let them purge in cool water overnight,
then boil them with just a pinch of salt.
The ocean’s flavor will fill your mouth and your heart.

Whether with family, friends,
or on a quiet solo trip,
if you're looking to make a meaningful memory this summer—
why not go clam digging in Seosan?

Nature’s gifts,
wrapped in laughter and peace,
might just make this summer your most unforgettable one yet.


요즘은 조개잡이 오는 사람도 없더라

요즘은 예전처럼 조개를 잡으러 오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사람들이 바다보다 도심 속 에어컨을 더 자주 찾는 계절.
그래서일까.
서산의 바닷가에 가보면 조개들이 그냥 모래 속에 조용히 묻혀 있다.
누군가 잡아가주기를 기다리는 것처럼.

호미 하나 들고 모래를 파보면
정말 믿기지 않을 만큼 조개가 쏟아진다.
힘들이지 않아도, 마음만 있다면 누구든 만날 수 있는 바다의 선물.

도시에서는 잊기 쉬운 감각들—
발에 닿는 차가운 모래,
손끝에 느껴지는 조개의 무게,
그리고 잡았을 때의 작은 기쁨.

요즘 같은 때야말로
조용히 자연 속으로 들어가
마음까지 가볍게 만들어주는 시간이 필요하다.

지금 서산 바닷가엔
누구든 와서 한 다라 가득 조개를 담아갈 수 있는
조용하고 넉넉한 여유가 남아 있다.


🇺🇸 These Days, No One Comes for Clams Anymore

These days, not many people come clam digging like they used to.
Maybe it's the season—
people choose air-conditioned cities over quiet shores.

And yet, at the beaches of Seosan,
the clams are still there, quietly hiding beneath the sand.
As if waiting for someone to find them.

With just a small rake in hand,
a few gentle digs reveal a bounty—
an almost unbelievable number of clams pouring out with ease.
No effort needed, only a bit of heart.
A gift from the sea for anyone who seeks it.

We often forget these simple senses in city life—
the cool touch of sand beneath our feet,
the weight of a clam in our hand,
the small thrill of discovery.

Now more than ever,
we need time to step into nature quietly,
and let it lighten the weight on our minds.

The beaches of Seosan are still here,
quiet and generous,
waiting for someone—anyone—
to come and fill their basket full of clams.


예전 여행길, 서산 해안가의 조개잡이

가끔은 아무 이유 없이
그때가 문득 떠오른다.

여행을 하다 서산 해안가 옆에 차를 세우고
호미 하나 들고 바닷가로 걸어가던 순간.
발끝으로 느껴지는 차가운 모래,
조심스레 긁어내면 와르르 쏟아지던 백합 조개.

햇빛에 반짝이는 바다와,
조용한 웃음소리가 섞이던 그 오후.
무거운 다라를 들고 돌아오던 길도
지금 생각하면 가볍고 따뜻하기만 하다.

그 시절의 여행은 멀리 가는 것이 아니라,
자연 속에서 잠시 멈추는 법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그리운 풍경, 그리고 소중한 기억.
이 여름, 다시 서산 해변이 생각나는 건
그때 그 조용한 행복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I Remember Clam Digging on the Shores of Seosan

Sometimes, for no clear reason,
a memory gently returns.

Like that time during a trip long ago—
when I pulled over by the coast of Seosan,
grabbed a small rake,
and walked barefoot toward the sea.

The cool sand beneath my feet,
the surprise of clams pouring out with each careful dig.
The sea shimmered in the sunlight,
and soft laughter filled the air.

Even the walk back, carrying a heavy tub of clams,
feels light and warm in my memory now.

Back then, traveling wasn’t about going far.
It was about learning to pause,
to listen to the quiet gifts of nature.

Maybe the reason I think of Seosan’s beach again this summer
is because I miss that peaceful kind of happiness
that only simple moments can bring.


예전에 다녀왔던 서산 앞바다,


그 해안가 모래밭에서 호미 하나 들고 조개를 잡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햇볕은 따갑고 바닷바람은 시원했지.
모래를 살짝 파기만 해도 조개들이 와르르 나왔던 그곳.
그날은 운이 좋았는지 ‘한다라’도 몇 마리나 잡아서,
시골집에 가서 해감을 시킨 뒤
팔팔 끓는 물에 삶아 먹었다.
바다 향 가득한 그 조개의 맛이 지금도 잊히지 않는다.

요즘은 그 바다에 조개를 잡는 사람도 별로 없다던데,
지금 다시 가면 더 많이 잡을 수 있을까?
자연의 선물, 조용한 여름 바닷가,
조개잡이의 그 즐거움이 다시 그리워진다.


Seosan Coast, Clam Digging Memories

I still vividly remember the time I visited the seaside of Seosan.
With just a small hoe in hand, we dug into the sandy beach right next to where we parked.
The sun was hot, but the sea breeze was refreshing.
Just a few scrapes into the sand, and the clams came tumbling out.
That day, I was lucky enough to catch a few “Handara” clams too.
After taking them to my countryside home, I let them purge in clean water,
then boiled them thoroughly.
The taste was full of the ocean’s fragrance — unforgettable even now.

These days, hardly anyone goes clam digging there anymore.
Would I catch even more if I returned?
Nature’s gift, a quiet summer beach,
and the joy of clam digging — I find myself longing for it once again.


감성 조개 삶기 레시피

서산 앞바다에서 잡은 싱싱한 조개를 집으로 가져왔다면,
먼저 깨끗한 바닷물 또는 소금물에 하룻밤 해감을 해주세요.
모래와 이물질을 뱉어내야 맛있는 조개 요리가 완성됩니다.

  • 준비물

    • 조개 1kg

    • 소금 1 큰 술 (해감용)

    • 마늘 3~4쪽 (통으로)

    • 물 2리터

    • 청양고추 (선택)

  • 만드는 법

    1. 깨끗한 냄비에 물 2리터를 넣고 끓입니다.

    2. 마늘과 청양고추를 넣어 은은한 향을 더합니다.

    3. 조개를 넣고 뚜껑을 닫아 중불에서 5~7분간 삶아줍니다.

    4. 조개가 입을 벌리면 익은 것이니 바로 불을 끄세요.

    5. 건져내어 바로 드시면 바다의 신선함이 입안 가득 퍼집니다.

  • Tip

    • 삶은 조개는 국물과 함께 즐기면 더욱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 간단히 초고추장에 찍어 먹어도 별미입니다.

    • 🇺🇸 Simple and Cozy Steamed Clams Recipe

      If you’ve brought fresh clams from the Seosan coast home,
      start by soaking them overnight in clean seawater or salted water.
      This helps them spit out sand and any impurities for the best flavor.

      • Ingredients

        • 1 kg fresh clams

        • 1 tablespoon salt (for soaking)

        • 3-4 cloves garlic (whole)

        • 2 liters water

        • Optional: Korean chili pepper (Cheongyang chili)

      • Instructions

        1. Boil 2 liters of water in a clean pot.

        2. Add garlic and chili pepper to infuse a subtle aroma.

        3. Add clams, cover with a lid, and steam over medium heat for 5–7 minutes.

        4. Once the clams open their shells, they’re cooked—turn off the heat immediately.

        5. Serve immediately for a fresh taste of the sea.

      • Tip

        • Enjoy clams with the broth for deeper flavor.

        • Try dipping them in a simple spicy vinegar sauce for a delicious treat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Summer Walk

  여름 산책의 즐거움 – 초록빛 자연 속에서의 소소한 행복 🌳 The Joy of a Summer Walk – Small Happiness in Green Nature 무더운 여름날, 시원한 바람을 따라 걷는 산책만큼 기분 좋은 일도 드뭅니다. 오늘은 집 근처 작은 공원을 따라 산책을 하며 만난 풍경을 기록해보려 합니다. 초록 잎들이 가득한 나무 사이로 햇빛이 부드럽게 스며들고, 바람에 나뭇잎이 살랑살랑 흔들릴 때, 마음마저 차분해지는 걸 느꼈어요. On a hot summer day, there’s nothing quite as refreshing as taking a walk in the breeze. Today, I took a stroll through a small park near my home and wanted to capture the sights I encountered. The sunlight gently streamed through the leaves, and the rustling of the branches in the breeze brought a calming sensation to my mind. 오늘 산책 중에 우연히 만난 이 나무는 특히 눈길을 끌었어요. 나뭇가지 사이로 동글동글 초록빛 열매들이 가득 매달려 있었는데요, 알고 보니 자두나무였어요. 아직 덜 익은 상태였지만, 자연 속에서 자라는 생명체의 싱그러움이 고스란히 느껴졌습니다. One tree especially caught my attention today. Between the branches were clusters of small, green round fruits — a plum tree! Though not ripe yet, the vitality of these growing fruits gave off a refreshing energy, as if nature was whispering its slow and patient rhythm. 자연...

『듀얼 브레인』 – 뇌는 둘이다, 나는 누구인가? Dual Brain – Two Minds of AI: Can It Think Like a Human?

  『듀얼 브레인』 – 뇌는 둘이다,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하나의 뇌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듀얼 브레인』은 그 고정관념을 정면으로 깨트립니다. 이 책은 우리의 뇌가 좌뇌와 우뇌, 즉 두 개의 독립적인 인격체 처럼 작동할 수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다양한 실험과 사례를 통해 풀어냅니다. 책을 읽다 보면 놀라울 정도로 뇌는 서로 다른 두 '의식'으로 나뉘어 생각하고 행동하며, 때론 충돌하고 때론 협력한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좌뇌는 이성적이고 언어 중심이며, 우뇌는 직관적이고 감각 중심적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종종 스스로도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되는 거죠. "왜 그런 말을 했지?" "방금 그건 내가 한 게 맞을까?" 이 책은 단순히 신경과학적인 설명을 넘어, 철학적 질문으로까지 확장됩니다. “나는 누구인가?” “의식이란 무엇인가?” “자유의지는 진짜 존재하는가?” 이런 질문들 앞에서 우리는 인간이라는 존재의 복잡함과 매력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한글 요약 『듀얼브레인』은 기존의 인공지능이 지니지 못했던 사고 구조를 새롭게 정의한 책이다. 이 책은 인간의 뇌가 좌뇌와 우뇌로 나뉘어 협력하고 균형을 이루듯, AI도 **감각적 직관(우뇌적 사고)**과 **논리적 분석(좌뇌적 사고)**을 동시에 다룰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현존하는 AI가 지나치게 분석적, 수치 중심적인 ‘좌뇌형’에 치우쳐 있다고 지적하며, 창의성과 감성을 이해하는 **'우뇌형 AI'**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더 자연스럽고 사람과 유사한 사고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AI의 미래가 단순히 더 강력한 연산 능력이 아니라, 인간적인 사고를 얼마나 잘 모사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AI가 이중적 사고 구조를 갖추게 될 때, 우리는 마침내 **'생각하는 기계'**와 공존하게 될 것이다. English Summary “Dua...

하늘을 가르며 내려오다, 헬기의 착륙 순간 Descending Through the Sky — The Moment of a Helicopter’s Landing

산책# 한강 뚝방길#River2025#새벽산책 하늘을 가르며, 거대한 프로펠러 소리가 점점 가까워진다. 그 순간, 땅 위는 정적과 긴장으로 가득 차고 헬기의 그림자가 천천히 내려앉는다. 바람이 일고, 먼지가 흩날리고, 모두의 시선은 하늘에서 내려오는 한 점에 고정된다. 이 장면은 단순한 착륙이 아니다. 힘, 기술, 긴박감, 그리고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장면이다. 이 짧은 순간이 남긴 여운은, 마치 한 편의 영화처럼 마음에 깊게 새겨진다.  오늘의 장면을 영상으로 담아 공유합니다. 그 거대한 날개의 떨림을 함께 느껴보세요. As the sky trembles with the deep hum of propellers, the sound grows louder—closer. In that moment, the ground stills. A shadow stretches downward as the helicopter slowly descends. Winds stir. Dust dances. All eyes are fixed on a single point in the sky. This is more than just a landing. It’s a fusion of strength, precision, urgency, and grace. And in that fleeting moment, a cinematic memory is etched into the heart.  I’ve captured this breathtaking scene on video. Feel the beat of the blades with me.